본문 바로가기

내 집 마련시 입지 분석요소

킹머니메이커 2023. 12. 16.

내 집 마련 하기

내 집 마련, 순간의 선택이 10년을 좌우합니다. 입지 분석을 통해 선택한 내 집마련은 10년 아니 평생을 좌우합니다. 내가 원하는 주관적인 기준 뿐만아니라 다른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객관적인 기준까지 생각한다면 내 집의 가치를 높을 수 있고 그만큼 내 자산도 올라갑니다.

 

입지란?

입지라는 것은 부동산 가치를 평가하는 객관적인 기준으로 직장, 교통, 학군, 환경, 호재 등이 있습니다.

 

1. 직장

나와 배우자의 직장 뿐 아니라 양질의 일자리가 많은 곳인지 분석해야 합니다. 500인 이상 사업체인지도 살펴보아야 하는 데 이를 통해 근로자들의 연봉 수준을 고려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양질의 일자리가 많은 곳은 사람들이 모여들면서 수요가 늘어나고 이를 통해 교통 및 상권이 발달하면서 좋은 입지가 될 수 있습니다.

 

2. 교통

양질의 일자리로 출퇴근하기 좋은 곳인지 살펴 보아야 합니다. 즉 강남, 도심, 여의도, 마곡, 판교, 상암, 구로 등의 업무지구로의 접근성이 높은 곳이 부동산 가치가 높은 곳입니다. 이런 주요 업무지구로 1시간 내 이동이 가능한지, 승하차 인원이 많은 곳인지를 살펴보아야 합니다. 특히 강남권으로 통하는 2호선이나 9호선 노선은 가치가 높은 노선입니다.

 

3. 학군

학군 고려시 우리 집에서 가까운 초등학교와 중학교뿐만 아니라 배정받는 학교의 학업 분위기와 선호도 등을 살펴보아야 합니다. 이러한 지역들은 하락장에서도 전세가가 떨어지지 않고 꾸준히 상승이 가능합니다. 특히, 중학교의 학업성취도 및 톡목고 진학률, 학원가의 접근성도 분석해 보아야 합니다.

 

4. 환경

우리집 근처 대형마트뿐 아니라 집 근처 백화점, 쇼핑몰, 스타벅스등이 고려요소입니다. 특히 스타벅스는 유동인구 등을 분석 후 들어가기 때문에 스타벅스가 입점하는 지역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백화점 및 대형 쇼핑몰등은 주변 상권을 발달시키는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거주 환경 측면에서도 신축 아파트가 들어서면 주변 인프라가 좋아질 것이라는 영향으로 구축 아파트도 상승하는 긍정적이 역할을 합니다.

 

5. 호재

위의 조건이 맞으면 호재까지 보면서 예측해야지 호재만을 보고 집을 선택하면 하락장에서 빠져나오기 어렵습니다. 호재에 따른 매수 의사결정은 현재가치보다 기대심리로 인해 호가가 형성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조심해야 합니다.

이런 조건을 충족시키는 곳은 가격이 비싸다는 큰 단점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직장이나 교통 + 다른 요소 한가지만 충족되어도 매력적인 선택일 수 있습니다.

댓글